프로그램계획 및 진행일지  | ||||||||||||
진행일자  | 2024년 11월 04일  | 진행시간  | 오후 2:30 ~ 3:30  | |||||||||
프로그램 유형  | 인지활동  | √  | 신체활동  | 
  | 사회적응  | √  | ||||||
여가  | √  | 재활  | 
  | 
  | 
  | |||||||
프로그램명  | 11월 달력 꾸미기  | |||||||||||
장 소  | 5병동 프로그램실  | 횟수  | 1  | |||||||||
진행자  | 사회복지사  | |||||||||||
준비물  | 활동지, 색연필  | |||||||||||
목 표  | - 나만의 11월 달력 만들기 활동을 통해 한 달 동안 기념일도 찾아 표시하며 기억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인지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한다. - 완성된 달력 전시를 감상하며 심미감 및 성취감과 자신감을 증진시키는 기회를 마련한다.  | |||||||||||
진행 과정 
 (활동 내용)  | 도입  | ① 11월은 날씨가 추워지면서 ‘김장’을 준비하는데 어르신들의 추억이야기를 경청해본다.  | ||||||||||
전개  | ② 다양한 달력의 사진 또는 그림을 보며 달력과 관련된 경험을 이야기 나눈다. ③ 활동지에 있는 ‘김장하는 날’ 도안을 색칠해보며 추억을 회상해본다. ④ 빈 칸에 숫자를 채워 넣으며 이 달의 병원 행사 정보를 알려드린다.  | |||||||||||
마무리  | ⑤ 활동을 마무리한 후 평가한다.  | |||||||||||
기대효과  | 이 요법은 어르신들의 시간지남력과 계절감각에 도움이 된다. 달력을 통해 중요한 날짜와 일정을 시각적으로 정리함으로써 기억력을 돕고, 잊지 않고 중요한 일을 챙길 수 있다. 자신만의 달력을 만들면서 일상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.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끼게 됩니다. 언어, 운동, 학습, 기억능력, 구성능력을 통한 전두엽 자극까지 기대할 수 있다.  | |||||||||||
◈ 기능회복훈련  | ||||||||||||
신체기능 훈련  | 기본동작 훈련  | 일상생활 동작훈련  | 물리 치료  | 작업 치료  | 인지 및 정신기능훈련  | 언어 치료  | 기타 재활치료  | |||||
  | 
  | √  | 
  | 
 
  | √  | √  | ||||||






									
								



